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2011.11.21 21:58

출력지연회로 제작

조회 수 9700 추천 수 2 댓글 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빨강 쿠미사제작을 완료하고 퍽노이즈가 있어 또 손을 댈까 합니다.

문제의 원인은 전원트랜스 가까이 출력지연회로를 내장하다보니 유도전류로 퍽노이즈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퍽노이즈는 작지만 완벽한 쿠미사제작을 위해 작은 부분이지만 용납할 수 없어 좀작은 크기로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타이머 ic 555를 활용하면 좀 작은 크기로 할 수있겠다싶어 소개합니다.

오늘사무실에서 만능기판을 가정하고 회로도를 그렸습니다.

사무실 일할때 잠시시간을 내어서 질문게시판에 올려으나, 다시한번 소개합니다.

 

빨강쿠미사에 넣기위해 최대한 작은크기로 옆 부품간섭없이 제작함.

물론 기판을 세울것이고, 굵은 동선으로 아래 만능기판에 고정합니다.

1.JPG

 

뜨게질로.... 입력선은 실드선으로 바로 납땜해서 아래 만능기판으로 연결하려고합니다. 입력다리는 뽑지 않았습니다.

이러면 잡음에 유리할 수 있으니....

2.JPG

 

12볼트 아답터를 연결했습니다.

옆 회로도와 똑같이 제작했으며, 아주 잘 작동하였습니다.

지연시간은 10~11초입니다. 회로도아래 22UF이 출력지연시간 설정 콘덴서입니다.

22UF 병렬로 1개더 추가하니 지연시간이 20초정도로 늘었났습니다.

3.jpg

 

저 공간에 넣을 것입니다. USBDAC 매칭증폭부앞 출력지연회로는 걷어내고 옆으로 이동합니다.

암베코트랜스와 제일 먼 거리로 이동됩니다. 그래도 3CM밖에 안되네요.

이정도면 팝노이즈 영원히 이별할 수 있겠죠!!!

4.jpg

 

저걸 또 다 풀고 작업하려니 까마득합니다.

엄수호님 K170, J74 눈빠지게 기둘리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하면 완벽한 쿠미사데......

그때 작업해야 겠습니다.

  • ?
    임주형 2011.11.21 23:15

    정말 감탄이 절로 나올 효율적이면서 예술적인 공간 배치입니다....

    저도 쿠미사 어떻게 하던 완성하려 했지만 넣을게 많고 공간 배치도 어려워 새로 크게  케이스를 만들려고 생각중입니다...

    옆면은 나무, 밑면은 알루미늄, 상면과 전면 후면은 아크릴로 할려구요...

    다행이 가까운 곳에 아크릴 다루는 곳이 있어 레이져 커팅으로 아크릴 제작이 가능해요...

    근데 눈이 안좋아 시도를 못하구 있습니다... ㅠㅠ

  • ?
    최성남 2011.11.22 01:13

    전원인가후 시간에 대한 지연만 지원하지만 나름대로 

    1. 전원입력 범위가 넓다(릴레이 전압에 결정됨)

    2. 앰프의 출력을 피드백 받지 않기때문에 쿠미사 전원을 이용해도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3. 470K저항값과 0.001uf 값을 변경하면 470k를 가변저헝으로 시간 조정리 자유로워진다.


    다용도로 사용 가능하네요.

  • ?
    홍재영 2011.11.22 07:03

    임주형님 반드시 멋진 쿠미사를 완성하시기바랍니다.

    최성남님

    1번 5V릴레이 사용하면 5V전원만 인가하면됩니다.

    이때 LED에 직결된 저항값만 1K정도 바꾸어주면 됩니다. 

    LED가 없어도 되는데, 빼려면 직결된 저항도 같이 빼주시면 됩니다.

    타이머 555는 18V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2번 전원그라운드 완전분리했습니다. 노이즈가 낄수 없겠죠.

    3번 아직 해 보지않았지만(저는 0.01uf 사용),  IC 555 1번 다리에 연결된 콘덴서의 용량(22uf)변경으로 지연시간 조절됩니다.

     

    감사합니다.

  • ?
    김상록 2011.11.22 09:07

    홍재영님이 진정한 자작인임을 인정합니다.~~! 고민하고 있던 부분인데..하나 만들어서 넣어보아야 겠군요..

  • ?
    홍재영 2011.11.22 09:17

    자작 즐겁고 재미있었서 하는거죠. 하스에 와서 다른분들 자작한거 보고(눈팅) 저도 많이 배웠습니다.

    그리고 정보도 많이 얻었습니다. 또 기판과 부품공제도.... 너무 감사합니다.

  • ?
    이원일 2011.11.22 09:43

    저도 비슷하게 제작해봤습니다.

    지연은 잘 작동하는데..

    전원을 내리면 릴레이가 바로 떨어지지 않고 2초 정도 물고 있어,

    꺼지면서 나는 퍽 노이즈 때문에 포기한 적이 있습니다.

    재영님, 전원을 내리면 바로 릴레이가 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
    홍경의 2011.11.22 10:00

    후아~ 홍재영님은 아직도 배고프시군요~ ㅎㅎㅎ

    대단하십니다 정말.. ㅋ

    저는 회로도 보고 따라하기 수준인데;; 필요에 따라 이렇게 모듈을 만들어 올리시는 것을 보니..

    멋져요~ ^^

  • ?
    윤광수 2011.11.22 10:11

    전원을 따로 공급하면 좋지요.평활콘덴서를 용양이 적게 하고 그러면 꺼지면서 나는 퍽 노이즈 를 피면할수 있죠.

  • ?
    홍재영 2011.11.22 10:54 Files첨부 (1)

    이원일님.

    저도 퍽노이즈때문에.... 신호선을 완전히 분리했기 때문에 노이즈가 낄 수가 없는 구조인데(릴레이에 전원만 공급)... 모르죠

    오늘 저녁 퇴근후 테스트 해보고 글남기겠습니다.

     

    홍경의님 예. 아직도...

     

    윤광수님 전원따로 공급합니다. 이것때문에(고주파발진) 한달간 씨름했습니다.

     

    수정 회로도 첨부합니다. 토클 스위치와 같은 구조입니다.

     relay_1.jpg

  • ?
    윤광수 2011.11.22 12:37 Files첨부 (1)

    1.JPG 트렌스출력부분이 어떤지? 

  • ?
    홍재영 2011.11.22 16:13

    윤광수님.

    질문의 요지가 위 정류회로는 주전원이고 아래정류회로에 출력지연회로를 붙이려고 하시는지요?

    저의 경우 100% 고주파 발진이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출력지연회로가 고주파발진에 취약했습니다.

    신호부의 그라운드는 전원부의 그라운드랑 같이 연결되어 있었고,

    신호선도 저항을 통해 접지되어있었습니다.

    이의 해결책은 전원분리입니다. 전원를 추가해서 독립시키면 간단히 해결되었습니다.

    본문의 회로도는 그냥 토글 스위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완전 분리되어 있고, 주전원을 사용해도 될 것입니다.

    퇴근하고 집에가서 테스트 해 보고 알려드리겠습니다.

  • ?
    박인용 2011.11.22 23:52

    오오... 그동안 계속 눈팅했는데,

    저도 따라해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이런 정보를 흘려주셔서...^^

  • ?
    홍재영 2011.11.23 09:30 Files첨부 (1)

    어제 밤에 테스트해 봤습니다.

    일단 지연회로는 잘 작동되었습니다. 릴레이에 걸리는 전압은 11.92V이고 지연시간이 끝나면 순간 작동됩니다.

    끌때 릴레이가 떨어지는 시간은 0.7초정도입니다. ac to dc에 1,000uf 전해콘덴서를 달았는데...

    555상단에 22uf콘덴서는 없어도 되겠고, 1,000uf도 빼도 되겠습니다. 그러면 OFF시 더 빨리 떨어지질것입니다.

    전원트랜스와 이격시키니 유도험과 발진은 보이지 않으나 문제점이 있군요.

     

    문제점1. 팝노이즈는 여전히 발생했습니다.(릴레이 on, off시)

    문제점2. 쿠미사 처음 켤때 DC가 1~3초동안 발생하고 DC서보가 작동해서 급격히 없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출력지연회로를 추가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습니다.

    상황은 이렇습니다. 쿠미사를 켜면 지연시간 10초가 지나고 릴레이가 작동된 후 DC가 1~3초 발생하다 급격히 없어집니다. 

     

    1번은 릴레이의 기계적(전기적)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라... 본문에 사용된 파란색 릴레이가 부적합한 것 같기도 합니다.

    팝노이즈가 적은 릴레이 추천바랍니다.

    2번은 부하가 있어야 DC서보가 작동되는 상황으로 봐서 릴레이 입력단자(본문회로도의 릴레이 빈단자 2개)에 수십옴(헤드폰 임피던스) 저항을 접지, 또는 그냥 연결

    시키면 쿠미사 켜자마자 DC서보가 작동되어 제거될것으로 생각됨(아직 해보지 않음)

    아래는 리뉴얼 젠(지승배님의 공구)의 보호회로도입니다. 본문 회로도와 거의 비슷한데,  헤드폰 L, R이 그라운드에 바로 접속되어 있습니다.

    릴레이가 작동되면 그라운드와 단락되고, 릴레이 8, 5핀(입력)에 연결됩니다.

    리뉴얼젠은 팝노이즈를 거의 들을 수 없습니다.(노란색 NAIS 릴레이가 사용됨) 

    Zen_relay.JPG

     

    이렇게 간단한 것도 오디오는 쉽지않군요...

     

    옴론 릴레이 비싸군요. 본문에 파란색 릴레이는 수년전에 천원에 구입했는데 지금은 1,500원합니다.

    고급릴레이는 "Non latching" 문구가 보입니다. 어떤의미인지요?

  • ?

    퇴근 하고 오늘 저녁 테스트 했습니다.

    위 댓글에서 2번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습니다. 입력과 그라운드사이에 수십옴~수백옴의 저항을 넣으면됩니다.

    전원용 22uf은 제거했고, 좀더 안정된 회로를 위해 스위칭다이오드 한개 추가.

    문제점 2는 더이상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지연시간(5초이상이면 됨) 안에 DC서보 작동으로 모든 DC가 제거됩니다.

    입력을 그라운드에 쇼트시켜보니 위와 같이 지연시간동안 DC서보 작동으로 DC가 제거되나,

    지연시간동안 출력이 쇼트되다보니 앰프에 무리가 오는것 같습니다.

    저는 150옴 저항을 달았는데 DC는 완벽히 제거되었습니다. 

     

    relay_1.jpg     DSC03348.JPG 

     

    문제점 1은 여전히 팝노이즈가 납니다. 붙을때 "띡"나고 떨어질때 좀더 크소리(약3배)로 "탁" 납니다.

    이제 팝노이즈만 해결하면 되는데....

    신호용 고급 릴레이로 교체 해 봐야할까요?

     

     "Non latching" 문구 김상록님이 답변해주셨습니다.

    latching 릴레이는 + ,- 전원을 바꾸어 주어야 접점이 동작하는 릴레이고,

    Non-latching 릴레이는 전원을 끊었다 넣었다 하면 접점이 바뀌는 릴레이로 알고 있읍니다.

  • ?
    윤광수 2011.11.23 20:30

    붙을때 "띡"나고 떨어질때 좀더 크소리로 "탁"은 릴레이에서 나는 소리인가요?팝노이즈는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들리는것 아닌가요?위회로에서 D8,9의 작용은 무엇인지?

  • ?
    홍재영 2011.11.23 21:12

    당연히 헤드폰으로 들리는 팝노이즈를 말합니다.

    리뉴얼젠회로의 D7,8은 전압의 역류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릴레이가 기계적으로 딱붙으니 스파크가 뛸가능성이...이게 팝노이즈임. 이 스파크가 튀어 헤드폰으로 흘러오는 현상임 )

    D9는 제너다이오드로서 9.1V이상 일때 전기가 통과한다는 뜻입니다.

    저는 사용하지 안했는데 릴레이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해보니 지연시간이 끝나면 바로 11.92V였습니다.

    순간적으로 릴레이작동범위에 들어와서 달 필요성을 못느꼈습니다.

  • ?
    배종선 2011.11.24 17:20

    좁은 공간에 넣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케이스가 넓다면 작업하시기 편하셨을텐데, 상당한 집적도를 보이셨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394 H6120 자작기 18 2 file 김병진(kimbj123) 2013.03.13 4164 0 2013.06.26 2013.06.26(by 이빈) kimbj123 김병진
393 Morgan Jones 27 1 file 손용욱 2013.04.01 5897 0 2015.04.06 2015.04.06(by 전병수) son4130 손용욱
392 H6120 두번째 완성 8 2 file 김나라 2013.03.31 3693 0 2013.05.07 2013.05.07(by 이학신) minipole 김나라
391 2옴 다이나하스 완성했습니다. 9 1 file 김명섭 2013.04.03 3877 0 2013.04.05 2013.04.05(by 김창수(sopphill)) sopoi2 김명섭
390 2옴 다이나하스 디버그 완료 했습니다(100%!!) 8 file 김명섭 2013.04.05 3782 0 2013.06.07 2013.06.07(by 유현우) sopoi2 김명섭
389 Jay-OD-L 완성 입니다^^ 16 40 file 정두영 2013.04.09 4018 0 2013.04.17 2013.04.17(by 김재용(lovefalls)) j4241g 정두영
388 META42 자작 올려봅니다.^^ 8 file 전계원 2014.10.13 2388 0 2015.04.16 2015.04.16(by 김선재) kwjeon69 전계원
387 기쁘게 만들고 기쁘게 들었던 제커스와 전원부 2 file 정재훈(hoony555) 2016.04.16 1403 0 2016.04.16 2016.04.16(by 정재훈(hoony555)) hoony555 정재훈
386 울궈먹기 입니다.(옷을 해입히고 있습니다, 학신표 차동앰프...) 4 37 file 전병수 2013.05.01 3488 0 2013.05.02 2013.05.02(by 정두영) hl2ajt 전병수
385 Simple MHHA 얼짱 사진및 경과 보고입니다. 2 file 이진구(notwokorea) 2016.08.15 2270 0 2017.07.11 2017.07.11(by 이진구(notwokorea)) notwokorea 이진구
384 LME49600을 이용한 헤드폰앰프 PCB아트웍 해봤습니다. 3 file 배강식 2013.05.21 5127 0 2013.05.22 2013.05.22(by 김나라) lewispae 배강식
383 여기 수준에는 좀 안 맞지만 자작품 몇 종입니다. 19 file 문상환 2013.06.07 4102 0 2013.08.14 2013.08.14(by 박병욱) cynthia 문상환
382 계속 MHHA, 10 file 심호철(caddis) 2016.09.10 2212 0 2016.09.28 2016.09.28(by 정광식(ksjung88)) lure0920 심호철
381 G-2 기판을 나눔 받았습니다. 13 file 유현우 2013.06.28 2715 0 2013.07.13 2013.07.13(by 윤인상) yoohwoo 유현우
380 또 선물용으로 만들었습니다 9 file 송영주(dontacos) 2013.07.14 3159 0 2013.07.26 2013.07.26(by 송영주(dontacos)) dontacos 송영주
379 od-a 케이스 - 초보 인증.. 5 file 양영모 2013.07.21 2818 0 2013.07.31 2013.07.31(by 오으뜸) drdugi 양영모
378 이전 자작품에 이어서 케이스 10 file 문상환 2013.07.28 3112 0 2014.01.20 2014.01.20(by 문병용(bymunga)) cynthia 문상환
377 meta 42를 만들었습니다. 6 심항 2013.07.30 3172 0 2013.08.27 2013.08.27(by 김용훈(kyh131)) shim890 심항
376 CHA47 10 file 최정현 2013.08.02 3113 0 2013.09.04 2013.09.04(by 최정현) tenji 최정현
375 cmoy, cha47, meier2.5 크로스피더 랑 알토이즈 케이스 ^^ 12 file 박상민(earthnciel) 2013.08.11 4600 0 2013.09.11 2013.09.11(by 박문서) earthnciel 박상민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132 Next
/ 132
CLOSE
134120 5941328/ 오늘어제 전체     244733 7922312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