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9433 추천 수 0 댓글 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luciel.tistory.com/2630001

알레프(Aleph) 헤드폰 앰프 제작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기판을 만들어주신 지승배님과 케이스를 만들어주신 김상록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올해 2월에 손을 댔는데, 짬짬이 작업하느라 6월 말에야 완성했습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

알레프 헤드폰 앰프는 지승배님이 넬슨 패스(Nelson Pass)의 알레프 3(파워앰프)를 베이스로 하여 헤드폰 앰프나 소출력 파워앰프로 쓸 수 있게 만든 앰프입니다. 알레프 파워앰프는 A급 증폭의 비교적 간단한 회로에 기반하고 있는데 비진공관계열의 앰프이면서도 상당히 매력적인 소리를 내는 파워앰프로 알려져 있습니다.

헤드폰 앰프나 소출력 파워앰프라는 컨셉에 맞게 알레프 3의 2병렬 출력단을 1단으로 줄였고, 헤드폰의 경우 귀를 가까이 대고 듣는 점을 고려해 전원부를 정전압부로 했고, 전원 온/오프 시의 과도한 DC Offset과 팝업노이즈를 해결하기 위해 뮤트 회로부를 추가했습니다.


부품 실장 및 납땜

보통 전원부부터 먼저 만든 뒤에 전원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 한 뒤에 증폭부를 만들기를 권합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어느 부분인가에 상관없이 망가지기 쉬운 능동소자와 수동수자를 제외하고 높이가 낮은 부품부터 납땜하는 것을 선호한다. 뒤집어 납땜할 때 편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저항을 납땜하는데, 사용한 저항은 모두 1% 오차의 국산 금속피막 저항입니다. 저렴한 가격 때문에 애용합니다.



나머지 과정은 모두 같은데, PCB에 부품을 삽입하고 뒤집어서 납땜하면 됩니다.


홀간격이 좁은 D1의 경우만 다리를 저렇게 접어주면 됩니다.


계속해서 높이가 낮은 부품 순서로 장착 및 납땜합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 부품 목록의 비고를 보면 스피커 연결 시에는 R31을 직결하라고 되어 있는데, 스피커와 헤드폰이 동시에 연결되었을 때 둘 사이의 간섭(?)을 막으려는 의도로 0.1옴 저항-사진 하단의 의 연두색 저항을 넣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높이가 높은 부품을 납땜합니다. 가변저항과 릴레이, TR, 콘덴서 중 일부입니다.

증폭부의 가변저항 100K는 출력석의 바이어스 조절용입니다. 발열에 따라 전류량을 조절할 생각에 고정저항을 쓰지 않았습니다.

TR은 범용 NPN TR인 2n2222입니다. 알레프 앰프의 원회로에서 사용하는 MPSA18이나 ZTX450를 쓰면 좋겠지만 구하기 쉬운 부품을 선호하는 편이라 아쉬움 없이 2N2222를 사용했습니다.

다음으로 정류부를 완성하여 제대로 전압이 출력되는지 체크했는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정류용 다이오드는 TO-220 패키지의 듀얼 타입의 다이오드를 쓰게 되어 있습니다. common cathode 타입의 다이오드는 쇼트키(Schottky) PBYR1545CT(Philips, 45V/15A)를, common anode 타입의 다이오드는 패스트 리커버리(Fast-Recovery) FMU-26R(Snaken, 600V/10A)를 사용했습니다. 짝이 딱 맞지 않는 점이 아쉽지만 가능한 좋은 스펙의 다이오드를 쓰고자 했습니다.

나머지 전해 콘덴서를 실장합니다.

전원부의 전해 콘덴서는 삼영 KXL 3300uF/35V와 KMG 4700uF/35V, KMG 3300uF/35V를 섞어서 썼습니다. 나중을 위해 기판에 콘덴서 2개 분의 공간을 비워놓았는데 그 부분만큼을 고용량 전해로 보충하기 위해서 입니다.(보다 현실적인 이유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콘덴서를 처리입니다 ㅡ.ㅡ;;)

증폭부의 220uF 콘덴서로 부귀환(Negative Feedback) 필터에는 오스콘 220uF/10V를, 나머지 부분에는 삼영 KXL 220uF/35V를 사용했습니다.(권재구님의 "알레프 헤드폰 앰프 제작중.. ver 0.95"에서 각 220uF 콘덴서에 걸리는 대략적인 전압을 참고했습니다.)

다음으로 입력단자를 장착합니다.

입력단자는 골드핀을 사용했습니다. 근본적으로 이런 단자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음질에는 가장 좋겠지만 편의성 때문에 사용합니다. PCB의 미스 프린팅은 사포로 살짝 갈아내 지웠습니다.


뮤트부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뮤트 회로는 릴레이를 사용해 기본적으로 출력 신호와 접지를 쇼트시키고 타이머 IC로 일정 시간 뒤에 릴레이를 동작 시켜 신호와 접지의 연결을 끊어 소리가 제대로 나오게 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신호가 릴레이를 거치지 않아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완전히 소리를 차단하지는 못하는데, 제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일 때 뮤팅회로가 작동하여 릴레이가 떨어질 때까지 소리가 미세하게 들리고,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라도 '드드드~' 하는 소리가 났습니다.(이 부분은 앰프마다 그 정도가 다르고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뮤팅회로는 앰프가 작동할 때의 팝업 노이즈를 막고 DC Offset이 안정화 될 때까지 스피커나 헤드폰을 보호하는 역할은 제대로 수행했지만, 뮤팅회로가 작동하는 동안의 소리가 거슬려서 기판의 패턴 몇 곳을 끊고 점퍼를 사용해 릴레이를 거쳐서 출력되는 구조로 바꿨습니다. 릴레이를 거치게 되므로 음질에는 좋을 것이 없지만 음질보다는 마음의 편한 쪽을 택했습니다.

뮤트부의 작동시간도 조절했는데, 뮤트부의 작동시간을 결정하는 전해 콘덴서(C5)를 47uF으로 했습니다. 회로도의 100uF은 뮤팅 시간이 길어 좀 답답해서 68uF으로 줄였다가 다시 47uF, 33uF까지 낮춰봤습니다. 33uF은 안정화되기 전에 릴레이가 작동하여 출력단에 DC Offset이 많이 나와서 안정화되는 수준인 47uF으로 결정했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용량은 출력단의 DC 수준이 모스펫 페어 매칭에 따라 다르므로 앰프 출력단의 DC Offset이 안정화되는 시간에 맞게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뮤트부뮤트부

그리고 보다 나은 릴레이 작동 시의 잡음 방지를 위해 1uF 필름 콘덴서를 추가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잡음을 막기 위한 다이오드가 달려 있지만, 권재구님의 "뮤트부 입니다."에서 릴레이 전원에 0.1~1u 필름 콘덴서를 넣으라는 코멘트를 참고했습니다.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릴레이의 동작 시의 잡음이 조금 더 부드러워진 느낌입니다.


딥(DIP) 타입 소켓을 이용한 모스펫 페어 맞추기

앰프 작동 시 출력단의 DC Offset을 낮추기 위해서는 모스펫의 페어를 정확하게 맞춰야 합니다. IRF9610은 M1L과 M2L / M1R과 M2R을, IRFP240(혹은 IRFP244)은 M4L과 M5L / M4R과 M5R의 짝이 맞아야 합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DC Offset을 더 낮추기 위해서는 이미 페어매칭 테스트를 했더라도 직접 앰프에 여러 모스펫을 바꿔 장착해보면서 가장 낮게 DC Offset이 나오는 조합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박은서님이 조언을 해주셔서 모스펫 장착 부분에 딥(DIP) 타입 소켓을 달았습니다.

실제로 딥 소켓에 모스펫을 장착하고 전원을 켜서 DC Offset을 체크해봅니다.

IRFP240과 방열판의 무게를 잘 감당하지 못하긴 하지만 IRFP240쪽에도 딥 타입소켓을 쓸 수 있긴 있습니다.

일차적으로 페어매칭을 한 상태이지만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DC Offset 검출량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가능한 모든 조합으로 테스트해본 뒤 가장 DC Offset이 적게 나오는 조합을 찾았습니다.


차동단의 모스펫 열결합

차동단에 쓰이는 두 모스펫의 경우 철저하게 열결합을 해야 하는데 이번 알레프 헤드폰 앰프 기판에는 적용되지 않아 아쉽다는 황용근님의 이야기를 참고해서 차동단의 두 모스펫 IRF9610을 열결합시키기로 했습니다.

그냥은 핀 배열 때문에 적용할 수 없고 M1을 180도 돌리는 것에 맞춰 모스펫의 Gate와 Source 핀를 서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열결합을 위해 하나의 방열판을 공유하는데, 절연시트와 부싱을 사용하여 두 모스펫이 쇼트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모스펫의 G,S 핀의 위치를 바꾸면 된다는 이야기는 간단하지만 실제로 기판 홀에 맞게 핀을 휘어주는 것은 보기보다 까다롭습니다. 당연히 휘어진 핀이 다른 핀과 서로 맞닿지 않게 주의해야 하며, 수축튜브 등을 이용해 절연하는 편이 안전할 것입니다..


사진에서 확인하긴 어렵지만 수축튜브로 G,S 핀을 절연시켜 놓았습니다. 그리고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서 써멀 구리스를 사용했습니다.

만약 모스펫의 다리를 이미 짧게 잘라 납땜한 상태라 위와 같은 식으로 열결합하는 것이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방식을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이 알레프 헤드폰 앰프보다 앞서 만든 이벤트 버전으로, 서로 맞닿는 부분에 써멀 구리스를 바르고 볼트와 타이를 사용해 접촉시켰습니다. 그리고 미약하게나마 방열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정용 너트 대신 PCB 서포터를 사용했습니다. 몸통이 플라스틱이라 절연 시트를 쓸 필요는 없지만 고정용 볼트와 너트는 모스펫의 금속 부분에 바로 닿으므로 부싱 등을 사용해 절연해야 합니다.

공구버전의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경우 처음부터 열결합을 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비교할 수 없었지만, 이벤트 버전의 알레프 헤드폰 앰프로 시험해본 결과 출력단에서 검출되는 DC Offset이 약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원부

알레프 헤드폰 앰프는 전원부로 HPS를 사용합니다.

정전압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테크놀리지(Linear Technology)사의 LT1085/1033(데이터시트: LT1085, LT1033)입니다. 비교적 고가이지만 3A의 전류를 지원하고 정밀도가 높은 편으로 LM317/337보다 안정적입니다. 다만 LT1033의 경우 단종되어 더이상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정전압부에서 많은 발열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발열판을 이용하기 보다는 레귤레이터를 L자형으로 구부려 케이스에 직접 장착하여 케이스 방열을 했습니다. 절연시트와 부싱을 사용해 레귤레이터를 케이스와 절연했고, 열전도율을 높이고자 써멀 구리스를 사용했습니다.


전원부의 전해 콘덴서는 삼영 KXL 3300uF/35V * 6개, KMG 4700uF/35V * 4개, KMG 3300uF/35V * 4개, KMG 4700uF/25V * 2개를 사용했습니다. 총 용량이 61200uF(=3300*10 + 4700*6)나 됩니다. 이렇게 전원부에 고용량 전해를 사용할 경우 휴즈 용량에 주의해야 하는데 적은 용량의 퓨즈를 사용할 경우 앰프의 전원 온/오프 시 전해 콘덴서를 채우기 위해 한 번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퓨즈가 쉽게 끊어지게 됩니다. 제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경우 2A짜리 휴즈는 버티질 못해 3A 휴즈를 사용했습니다.

전해 콘덴서를 KXL 3300uF으로 통일시키지 않은 이유는 나중을 위해 기판에 콘덴서 2개 분의 공간을 비워놓은 부분만큼을 고용량 전해로 보충하기 위해서입니다.


그 대신이라고 하긴 뭐하지만 빈 공간에는 필름 콘덴서를 넣었습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용 트로이달 트랜스 단열하기

공제한 알레프 헤드폰 앰프 케이스의 경우 밑판을 주 방열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그 열기가 트랜스로 전해집니다. 진동방지용 고무판이나 스폰지가 부착되어 있겠지만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이 커서 뜨거워지는 밑판에 의해 트랜스도 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공기가 좋은 단열재라는 점을 이용해 약간 두께가 있는 고무 받침으로 밑판과의 간격을 만들어주었습니다. 더 두꺼운 고무 받침을 쓰면 좋겠지만 케이스 두께를 감안해야 합니다. 한경욱님의 조언에 따르면 센터몰딩쪽에 고무 받침을 대는 것이 역학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저의 경우 트랜스의 코어몰딩쪽이 움푹 파여 있고 그 주위의 테투리가 약간 볼록하여 케이스 밑판과의 간격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지점에 고무패드를 붙였습니다.)


케이싱-공제 알레프 헤드폰 앰프 케이스

케이스는 김상록님이 공제해주신 케이스인데 아주 멋지게 만들어졌습니다. 밑판을 주 방열판으로 옆판을 보조 방열판으로 사용하는 구성입니다. 게다가 방열판을 단순한 알루미늄 판재로 하지 않고 표면을 요철 모양으로 하여 방열면적을 충분히 넓혔습니다. 구조적인 면 외에도 아노다이징이 깔끔하게 되어 무척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공제 케이스를 그대로 사용하는 편이 가장 깔끔하고 좋겠지만 제 취향에 맞게 몇 가지 변화를 주었습니다. 저는 헤드폰 앰프로도 사용하면서 소출력 파워앰프로도 사용할 계획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알레프 헤드폰 앰프는 헤드폰 앰프로 사용하거나 소출력 파워앰프로 쓰게끔 기획되어 출력 전환용 스위치가 없습니다. 따라서 제 의도대로 쓰자면 그때그때 사용하지 않을 쪽의 연결을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됩니다. 그래서 출력 전환용 스위치를 넣기로 했습니다.

스위치용 홀을 새로 뚫을 경우 딱히 적당하다 싶은 곳이 없다고 생각해 LED 장착용 홀을 스위치용 홀로 쓰기로 했습니다. LED에 맞게 가공된 홀이라 토글 스위치를 넣을 수 있게 드릴로 구멍을 넓혔습니다.


앞서 전원부에서 전해 콘덴서를 비워둔 까닭도 바로 때문입니다. 물론 스위치를 위해서는 전면 패널쪽의 1곳만 비워도 되지만 양족의 균형을 맞추려는 의도로 반대쪽도 비웠습니다.


LED 고정용 홀을 출력 전환용 스위치 고정에 사용해버려 LED를 다른 곳에 장착해야 했습니다. 케이스가 검은색으로 아노다이징 된 상태라 드릴로 홀 가공을 하면 아노다이징이 벗겨진 부분이 눈에 띄어 깔끔하지 않기 때문에 어디에 LED 고정용 홀을 만들까 고민해야 했는데, 볼륨의 최소/최고 지점을 표시하는 포인트가 눈에 들어와 그곳에 LED를 장착하기로 했습니다.

고휘도 LED를 써도 눈부시지 않게-실은 드릴로 아노다이징이 벗겨지는 부분을 줄이기 위해 바깥에는 1파이의 작은 구멍을 뚫고 안쪽에는 LED가 장착될 수 있는 3파이의 구멍을 만들어 LED를 고정했습니다. 이렇게 외부로 LED가 바로 노출되지 않게 하니 은은하게 불빛이 보여서 좋습니다.

알레프 문자의 색에 맞춰 LED는 고휘도 레드로 했고, 검은색과 붉은색의 대비를 강조하려는 의도로 노브의 볼륨 위치 표시용 틈도 빨간색으로 메웠습니다.


볼륨이 케이스에 고정되지 않고 기판에 고정되어 있어 더 손본다면 노브에도 LED 장착이 가능해 보였지만 이 정도 선에서 멈추기로 했습니다.

볼륨은 알프스 코퍼벨벳(^^;;) 10KA 클릭형입니다. 가지고 있던 것 중에서 소음량에서의 좌/우 밸런스가 가장 좋게 느껴지는 것을 골라 사용했습니다. 개인적으로 클릭형을 좋아하지 않지만 동일 용량의 논클릭형을 구할 수 없고, 토코스 볼륨의 경우 전면 판넬에 고정이 불가능하여 어쩔 수 없었습니다.


입력 RCA단자는 뉴트릭 판넬형 단자 NF2D를, 스피커 연결용 바인딩 포스트는 WBT 복각 제품을 썼습니다. 양쪽 모두 마감이 약간 아쉽지만 나름대로 견고하고 고급스럽게 보여 자주 쓰는 저렴한 단자보다 만족스럽습니다.

후면 패널의 오른쪽을 나타내는 문자 'R'은 붉은색 네임펜으로 칠해서 구분했습니다.




입력선재는 갖고 있던 벨덴(Belden) 8761-오디오용 선재인 주석도금 2심선을, 출력선재는 스웨덴제 OFC 선재 Jentech HC 1.6를 사용했습니다. 각 단자의 끝 부분은 수축튜브를 씌웠고, 좌/우는 수축튜브의 색을 달리하여 구분하기 쉽게 했습니다.




출력단의 모스펫 IRF240은 절연시트를 사용해 케이스와 절연했습니다. 부싱은 절연을 위해서가 아니라 모스펫 보호를 위해 사용했습니다.IRF240은 몸통이 플라스틱이라 고정용 볼트를 과도하게 조일 경우 모스펫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부싱의 두께로 인해 기본 볼트로는 제대로 고정이 안 되어 보다 긴 볼트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서 써멀구리스를 절연시트와 모스펫에 발랐습니다.


공제 알레프 헤드폰 앰프 케이스 접지 하기 및 그라운드 루프 브레이커(Ground Loop Breaker) 적용하기

공제한 알레프 헤드폰 앰프 케이스에는 따로 AC 접지를 하거나 그라운드 루프 브레이커(Ground Loop Breaker)를 사용하기 위한 접지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AC 접지를 할 경우 오히려 그라운드 루프로 인해 험이 발생할 수 있어 경우에 따라 AC 접지를 하지 않는 편이 음질에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상 문제는 만약의 경우에 발생하므로 안전을 위해 꼭 해주는 편이 좋은데, 그런 그라운드 루프로 인한 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그라운드 루프 브레이커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AC인렛 쪽의 원형발 고정용 볼트/너트쪽에 접지 포인트를 만들어주었습니다. 아노다이징 착색된 부분을 사포로 벗겨낸 것입니다. 여기에 AC 접지라인과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루프 브레이커 포인트에 연결한 선을 연결해주면 됩니다. 접지선은 가능한 굵은 선을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공제 알레프 헤드폰 앰프 케이스에 뉴트릭 RCA잭(NF2D) 장착하기

그냥 RCA잭을 끼면 될 텐데 무슨 이야기할 거리가 있나 의아해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뉴트릭 RCA잭(NF2D)은 고급스러운 외양과 높은 가격과 달리 마감이 좀 아쉬웠습니다. 판넬에 장착 시 보이지 않는 뒷면과 옆면에 약간 울퉁불퉁한 부분이 있어 공제한 알레프 헤드폰 앰프 케이스에 완전히 장착되지 않았습니다. 공제 케이스가 뉴트릭 RCA잭의 도면 그대로 워낙 정교하게 가공된 탓에 RCA잭의 약간 돌출된 부분이 걸린 것입니다.


그래서 줄과 사포를 이용해 문제의 부분을 갈아내니 케이스에 딱 맞게 장착할 수 있었습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발열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발열은 심한 편입니다. 원래 알레프 앰프가 높은 발열로 유명하긴 하지만 보다 출력을 낮춘 알레프 헤드폰 앰프도 기본적으로 클래스 A 증폭 방식이라 그런지 열이 많이 납니다.

증폭방식 자체가 발열이 심한 편이고 실제로 열이 많이 발생하지만 공제 알레프 헤드폰 앰프 케이스를 쓴다면 우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3면(밑판, 양 옆판)이 요철구조의 방열판이라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심한 발열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이뤄져 있습니다. 그래서 앰프에서 발생하는 열도 계절과 실내온도에 따라 여유로운 마음으로 즐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출력석(IRFP240)과 전원부의 레귤레이터(LT1085/1033), 정류 다이오드, 차동단의 모스펫(IRF9610), 릴레이 전원용 레귤레이터(7812), R34입니다. 출력석과 전원부의 레귤레이터는 케이스 방열을 하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바이어스 정도에 따라 체감상 발열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 같아 적정 수준으로 바이어스를 맞추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제 알레프 헤드폰 앰프에서는 바이어스 200mA까지는 섭씨 40~45도로 양호한 수준이었고, 300mA 이상부터 55도~60도로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R34에서는 약간의 열-다른 저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는 많은 열이 발생했는데, 그 점을 고려하여 기판에 딱 붙이지 않고 기판에서 약간 띄워 간격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발열 정도를 고려한다면 알레프 헤드폰 앰프에 사용하는 전해 콘덴서를 105도 급을 사용하는 편이 나으리라 생각합니다. 특히 정류 다이오드 가까이에 있는 전해 콘덴서는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에 영향을 받아 주위의 다른 콘덴서보다 온도가 높았는데, 그 부분은 되도록 105도 급의 콘덴서를 써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케이스의 밑판과 옆판 사이에 써멀 구리스를 발라 열전도율을 높이면 방열에 더 좋을 것입니다.(김상록님의 조언을 참고하여 추가합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의 바이어스 조절

바이어스는 회로의 R8 값과 출력석의 소스(S)에 연결된 저항 값에 정해지는데, 출력석 M5의 소스에 연결되어있는 R20의 전압(DC)을 측정해 R20의 값으로 나눈 값이 바이어스 전류량입니다.(저의 "알레프 헤드폰 앰프 바이어스 조절 방법 질문합니다."에 대한 황용근님의 답변을 참고했습니다.) 예를 들어 R20의 DC 전압이 0.3V이고, R20이 1.5옴이라면 바이어스는 200mA(=0.3/1.5)가 됩니다.

필요에 따라 바이어스 조절하고자 한다면 R8은 고정저항보다 가변저항을 사용하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또한 바이어스에 따라 발열 외에 출력단의 DC Offset의 정도도 달라지므로 바이어스 조절 시 출력단의 DC Offset을 고려해야 하겠습니다.

제법 까다롭게 페어매칭-각 모스펫을 1개씩 페어매칭기로 IRFP240은 400mA, IRF9610은 20mA의 전류를 30분간 흘리면서 총 3회 측정하여 가장 비슷한 값을 골라내 페어를 맞추고 딥 타입 소켓을 이용해 가장 DC Offser이 적은 조합을 찾은 덕분인지 출력단의 DC Offset은 극히 적어 바이어스를 200mA로 맞췄을 때 -2.0~-0.2mV에 불과했습니다. 그렇지만 바이어스를 300mA로 올리자 DC Offset이 -18~-15mV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습니다. 물론 이 정도도 양호한 수준이긴 하지만 페어매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DC Offset이 큰 상태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출력단의 DC Offset은 스피커에 연결하는 파워앰프의 경우 +/-50mV를 넘지 않게, 헤드폰의 경우 +/-200mV를 넘지 않게 조정해야 한다고 합니다.(신영철님의 "출력단 DC 에 대해서.."에 대한 송관섭님, 박은서님의 답변 참고했습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로 음악을 들으며...

알레프 헤드폰 앰프는 묘한 느낌을 줍니다. 헤드폰 앰프로 사용할 때와 소출력 파워앰프로 쓸 때의 느낌이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헤드폰 앰프로서는 엄청난 구동력이 인상적입니다. 마치 유닛을 손에 쥐고 흔드는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원할히 헤드폰을 울려, 답답하게 반응을 잘 하지 않는 헤드폰을 혼내주기에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외에 음색은 특별히 모나지 않으면서도 단정한 저음의 울림이 좋게 느껴졌습니다. 다른 알레프 파워앰프를 써보지는 않았지만 리뷰를 보면 흔히들 알레프 파워앰프에 대해 온도감 있는 소리가 좋다고 표현하는데 편안한 소리로 인해 음악을 듣기에 좋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스피커용 파워앰프로서는 소출력이다보니 구동력이 그리 강하게 느껴지지는 않아 헤드폰 앰프로 쓸 때와는 사뭇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렇지만 작은 음량에서든 큰 음량에서든 상당히 듣기 좋은 소리를 낸다는 점은 헤드폰 앰프와 마찬가지였습니다.

음압이 높은 스피커의 경우 별도의 프리앰프 없이 내장된 볼륨을 활용해 소출력 인티앰프처럼 쓸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알레프 헤드폰 앰프만으로 몇 가지 스피커를 울려봤습니다. 미니컴포넌트용 스피커는 물론이고 제가 애용하는 모니터 스피커도 원활히 울렸습니다. EGA 인터메쪼 스피커에서는 게인이 좀 낮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제가 큰 음량으로 음악듣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다보니 그래도 제법 괜찮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현재 전에 만들었던 헤드폰 앰프겸 프리앰프인 SKEL6120모노블럭 게인클론 파워앰프를 치우고 알레프 헤드폰 앰프만으로 듣고 있습니다. 애시당초 헤드폰 앰프겸 소출력 스피커 앰프로 쓸 목적으로 출력전환 스위치를 추가한 것인데 알레프 헤드폰 앰프는 그런 의도에 잘 부합하는 것 같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입력단이 하나라는 점입니다. 저는 2가지 소스를 자주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매번 케이블을 바꾸기가 좀 번거롭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또 다른 알레프 헤드폰 앰프(이벤트 버전)는 2개의 입력단을 갖춰 만들어 놓았는데 김상록님의 공제 케이스가 더 마음에 들어서 어느 알레프 헤드폰 앰프를 사용할 지를 놓고 고민 중입니다.(행복한 고민입니다.^^;;) 이 알레프 헤드폰 앰프를 그대로 쓰자면 외장형 입력 셀렉터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 역시 번거로워 프리앰프를 추가할까 생각 중입니다.


알레프 헤드폰 앰프 ⊂ 알레프 앰프

자작인의 입장에서 알레프 앰프(파워앰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상은 아마도 무지막지한 크기의 방열판과 제법 커다란 돌덩어리 같은 트랜스, 깡통처럼 큰 전원용 콘덴서의 조합일 것 같습니다. 예전에 지승배님의 알레프 3 앰프 기판 공제에 참여하여 기판을 구해놓고도 만들 엄두를 못 내고 있었는데, 알레프 헤드폰 앰프는 그런 압박을 받지 않고 상대적으로 손쉽게 알레프 앰프에 접할 수 있는 점이 무엇보다 좋습니다. 이 점은 어떻게 보면 헤드폰 앰프의 즐거운 특권(?) 같기도 합니다.^^

물론 알레프 헤드폰 앰프가 알레프 앰프 그 자체는 아니며 규모 면에서 큰 차이가 있고 세부적인 면에서 다르긴 하지만 같은 계열이라 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그래서 알레프 헤드폰 앰프를 통해 알레프 앰프를 유추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알레프 앰프가 부담스럽다면 알레프 헤드폰 앰프나 미니 알레프에 도전해보시길 권해봅니다.^^
  • ?
    이석영 2007.07.04 05:10
    읽느랴 힘들었습니다. ^^;;
    퍼펙트 합니다! 좋은 참고, 가이드가 되겠습니다.
  • ?
    권재구 2007.07.04 07:59
    엄청한 정성이 들어간 제작기입니다...
  • ?
    천강우 2007.07.04 08:49
    짝짝짝!!!
  • ?
    김현국 2007.07.04 09:39
    저도 전원 온-오프 시의 과도한 DC Offset과 팝업노이즈를 언젠가는 손 보아야겠다 하고
    고민하고 있었는데 잘 하신것 같습니다.
    정성들여 만드신것 잘 보았습니다.
  • ?
    김상록 2007.07.04 09:55
    재미 있게 읽었습니다..^^
    참고로 케이스방열시.....옆판과 ..밑판조립시..방열그리스를 발라주면..열전도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실질적으로 방열그리스를 안발라주면...옆판은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참고)
  • ?
    박원웅 2007.07.04 09:58
    흠.. 운영자님 제작 메뉴얼 방이라도 따로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런 제작기들... 소중하게 구분되어 보관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훌륭한 제작기 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 ?
    황용근 2007.07.04 10:14
    찬영님 자작기는 언제 올라오나 기다렸는데 이제 저의 갈증이 해결되었군요 ㅋㅋ
    지난번에도 도움을 주셨는데 (이 때 찬영님의 정성어린 보살핌에 많이 감동받았습니다) 정말 좋으신 분입니다
    이번에도 부재 멋지군요 -_-b 좋은 자작기 감사드립니다
  • ?
    이학민 2007.07.04 10:15
    멋집니다.. 뽐뿌네요.. ^^
  • ?
    박완순 2007.07.04 10:48
    잘 읽었습니다..
    상세한 설명이 많은 도움이 되네요..
  • ?
    윤광수 2007.07.04 11:02
    재미나게 읽었습니다.
    멋지네요.
  • ?
    임계종 2007.07.04 13:25
    완벽한 자작기입니다.
    아직 시작을 못하고 있지만
    제작에 아주 도움이 많이 될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
    박찬영 2007.07.04 15:16
    이석영님, 실은 처음부터 글의 방향을 정하고 쓴 것이 아니라 블로그에 연재했던 잡다한 글을 정리했습니다만 편집이 제대로 안 되어 불필요하게 긴 것 같습니다.

    권재구님, 올려주신 알레프 헤드폰 앰프 자작기가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천강우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현국님, 기타 자작방에 권재구님이 뮤트부만 별도로 만들어 소개하신 글이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링크입니다. http://www.headphoneamp.co.kr/bbs/zboard.php?id=diy_amp&no=273

    김상록님, 전에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편집하다보니 체크 포인트만 간단히 적지 못하고 장문이 되어버렸습니다. ^^;; 방열에 대한 조언 감사합니다.^^ 전부터 방열 구리스를 발라야 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직 적용은 못했습니다. 글에는 추가해놓겠습니다.

    박원웅님, 과찬입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황용근님, 일전에 바이어스 조절 방법과 뮤트부에 대한 조언 감사했습니다.^^ 저도 용근님의 자작기를 많이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학민님, 뽐뿌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완순님, 도움이 된다니 자작기 올린 보람이 느껴집니다.^^

    윤광수님,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임계종님, 과찬입니다. 즐겁게 만드시기 바랍니다.^^
  • ?
    김준범 2007.07.04 22:05
    아...수고 많으셨습니다.
    정성이 가득담긴 찬영님 제작기는 볼때마다 맛있는 음식을 배부르게 먹었을때의 포만감을 주는군요.
    열결합을 위해 꼬아버린 9610의 다리사진에 두손두발 다들었습니다.ㅎㅎㅎㅎ
    개인적으로 수정된 뮤트부의 사진이 궁금하네요....
    멋진 자작기 감사합니다.
  • ?
    박찬영 2007.07.04 23:51
    김준범님, 뮤트부는 한동안 디카를 쓸 수 없어 일단 말로 대신하겠습니다. 릴레이의 5번, 8번 핀을 이용하면 신호가 릴레이를 거쳐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있는 출력저항 앞의 패턴을 끊어야 하는데 이때 R28L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만 R28L의 저항을 R31L과 같은 홀을 사용하면 점퍼 하나를 줄일 수 있습니다.(참고로 저는 출력전환용 스위치를 사용하느라 위의 R34N의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했습니다.) 그렇게 패턴을 끊은 뒤 릴레이 5번, 8번 핀에서 출력저항용 홀로 점퍼선을 연결해주면 됩니다.
  • ?
    황용근 2007.07.04 23:58
    사진은 조만간 제가 대타로 올려드리겠습니다 ^^
  • ?
    지승배 2007.07.05 00:23
    역시 박찬영님 자작기는 최고입니다. ^^*
    좋은 자작기 감사드립니다.
    물론 작품의 완성도도 최고구요 ~
  • ?
    박찬영 2007.07.05 18:41
    황용근님, 대신 올려주신다니 좋습니다.^^ 디카가 수리받으러 가있어서 제가 올리자면 한참 걸릴 것 같습니다.

    지승배님, 선물해주신 기판이라 더 열심히 만들었는데 좋게 평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로써 공포(?)의 숙제 검사 하나가 끝났군요. ㅎㅎ
  • ?
    이민 2007.10.11 06:48
    정말 멋져요...
    설명도 Good .... 사진도 넘 넘 잘올리신거 같아용..
    한마디로 부럽내요~~~~~~~~~~

  1. YAHA...8개월만에 완성(?)

  2. Helmut Ahammer 진공관 헤드폰 앰프 (12ax7 + EL84/6BQ5)

  3. 알렙!!! 완성

  4. Cosmeier? or Meierdac?

  5. TPA6120 변환기판 자작

  6. 내멋대로 앰프 3종세트...

  7. Simple Class-AB Headphone Amp

  8. DIY My CMOY2 headphone amp

  9. 또 다이아몬드 버퍼 앰프입니다.

  10. cmoy을altoids통에 한번 넣어보았습니다.

  11. 작은 거인 알레프(Aleph) 헤드폰 앰프

  12. 짬뽕 코스닭?

  13. Diamond Buffer socket for A47

  14. 버릴뻔했던 PCB재활용~[TDA1308]

  15. 알레프 완성 신고합니다...^^)

  16. Sol Headphone Amp (SHA)

  17. ALEPH 임시 완성..

  18. CHA - 47 드디어 완성!

  19. Diamond Buffer (amp?)

  20. 뜨근뜨근 알레에프~~~^^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32 Next
/ 132
CLOSE
33199 5930614/ 오늘어제 전체     53757 79134056/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